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지역 언론의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박수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언론진흥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역신문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지역신문발전기금’의 지원 대상이 2025년 기준으로 67개사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지역신문 994개사 중 6.7%에 불과한 비율이다. 박수현 의원은 “경영건전성과 4대 보험 완납 등 17개 평가 항목을 통과해야 하는 엄격한 선정 기준 때문에 상당수의 지역언론이 신청조차 포기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역언론은 정부광고 배정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25년 9월 기준으로 전체 994개 지역언론 중 정부광고를 한 건도 받지 못한 ‘지역신문’이 382개사로, 이는 38.4%에 달하는 수치다. 이러한 상황은 해마다 악화되고 있으며, 2021년에는 199개사, 2022년 249개사, 2023년 295개사, 2024년 318개사로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보급 지역을 전국이 아닌 특정 지역으로 두고 있는 ‘지역 인터넷 신문’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2023년부터 2025년까지 3년 동안 ‘언론진흥기금’을 통해 지원된 1,300건 중 ‘지역 인터넷 신문’에 대한 지원은 단 36건에 불과하며, 이는 전체 지원 건수의 2.7%에 지나지 않는다.
박수현 의원은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지역신문발전기금’의 예산을 증액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2025년 83억 원이던 예산을 2026년도 정부안에서는 118억 원으로 35억 원, 42% 증가시켰다. 그러나 그는 “여유 재원을 활용해 예산 국회 과정에서 추가 증액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2024년 결산 기준으로 ‘지역신문발전기금’ 여유 재원은 40억 원, ‘언론진흥기금’ 여유 재원은 480억 원에 달한다.
박수현 의원은 “여유 재원을 활용한 지역언론 지원 기금 사업비를 대폭 늘리는 동시에 선정 요건을 완화하는 방식 등을 통해 지역신문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정부광고 배정에서 배제되는 지역언론을 위해서는 별도의 ‘기금사업 공모’나 ‘우선지원대상사 선정’에서 수혜를 받을 수 있는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지역 언론이 직면한 지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언론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