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 외래관광객 중심의 정책 전환으로 인천 인바운드관광 성장 이끌어야

인천연구원 ‘인천 외래관광객 정책 방향’ 연구결과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인천연구원(원장 박호군)은 2025년 정책연구과제로 수행한 인천 외래관광객 정책 방향 연구의 결과보고서를 발표했다.

 

올 상반기 한국을 방문한 외래관광객 수가 883만 명으로 전년동기 대비 14.6% 증가한 가운데, 하반기에는 방한 중국 단체관광객 대상 무비자 제도가 예고되어 있어 본격적인 개방의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천은 본격적인 개방의 시대에 대비하여 중국관광객 집중 유치, 팀 메디컬 협력 외국인환자 유치, 인천항 크루즈 모항 정기 운영 등을 중심으로 외래관광객 유치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하는 방한 외래관광객은 전체 관광객의 67.3%에 이르나, 외래관광객의 인천방문율은 서울, 부산, 경기, 제주에 이어 6.5% 수준으로 방문 지역은 서울(80.3%)에 집중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외래관광객이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하여 서울로 이동하는 상황이다.

 

이에 이 연구는 방한관광객의 관광 트렌드와 요구가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인천을 방문하는 외래관광객의 요구와 특성에 기반한 외래관광객 정책을 제시하여 인천 인바운드관광을 한 단계 성장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했다.

 

인천의 외래관광객 정책 여건 및 현황 진단 결과에 따르면, 최근 방한 관광 트렌드는 소규모·개별관광(코로나19 이전 77.1% 대비 84.0%) 형태로 전환되고 있으나, 인천을 방문하는 외래관광객의 개별관광 비율(코로나19 이전 56.9% 대비 59.2%)은 낮은 편이다.

 

또한, 외래관광객의 방문 관광지는 대부분 중구(원도심·영종) 및 연수구에 집중되어 있으나, 이들 지역 역시 대표적인 관광이미지가 부족하며, 외래관광객의 체류·소비를 이끌어 내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인천관광에 대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한 단계 성장을 위해 수요자인 외래관광객 중심의 정책 마인드에 기반한 인바운드 관광 활성화 전략이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를 위해 관광 트렌드와 수요 변화에 대응하고, 인천을 ‘한국여행의 시작과 끝을 장식하는 글로벌관광도시’로 브랜딩하기 위한 정책을 우선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 외래관광객 정책 방향은 ▲ 인천 인바운드관광 이미지 고도화, ▲ 타깃시장별 전략적 관광마케팅, ▲외래관광객 편의서비스 개선, ▲ 인바운드관광 파트너십 강화 등을 위한 과제를 제안했다.

 

인천연구원 황희정 연구위원은 “개별관광객의 관광행태나 요구에 주목하여 글로벌 OTA* 연계 개별관광객 유치 마케팅 및 외래관광객 쇼핑관광지구 지정 등을 우선 추진하여야 한다”라고 강조하고, “인천국제공항 또는 인천 핵심명소를 대상으로 하는 인천 관광이미지 고도화 사업이 병행되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