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 LNG 공급관로 루트 변경 논란에 “사전 협의 없는 SK의 일방적 결정”

안성시, SK 측의 일방적 LNG 공급관로 결정에 강력 반발
안성시는 주민 안전과 환경을 고려한 행정적 판단으로 보완 요청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안성시, SK E&S의 LNG 공급관로 설치와 관련된 논란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최근 한 언론매체가 안성시가 반도체 단지를 기피시설로 지목했다는 보도에 대해 안성시는 "사실과 다르다"며 강력히 반박했다. 안성시는 이번 논란의 핵심은 SK 측의 일방적인 공급관로 결정이며, 지역 주민의 의견 수렴이나 사전 협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SK E&S는 지난해 10월 LNG 공급관로 설치를 위한 사전작업으로 도로관리심의를 신청했으나, 안성시는 해당 지역 주민 의견 수렴과 경유 이유에 대한 보완을 요구했다. 하지만 SK 측은 이를 제출하지 않았고, 결국 안성시는 심의 신청을 반려했다. 이후 SK 측은 용인시 양지면 방향으로 공급관 매설 노선을 결정했다.

 

안성시는 LNG 공급관로 문제가 주민의 생존권과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며, 이를 단순히 '님비(NIMBY)' 프레임으로 치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안성시의 보완 요청은 주민의 안전과 건강을 고려한 행정적 판단임을 명확히 했다. 안성시는 반도체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국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취지에도 깊이 공감하고 있다. 이는 안성시가 반도체 단지를 기피시설로 지목한다는 보도와는 명백히 상반되는 입장이다.

 

안성시는 반도체 산업을 지역발전의 터닝포인트이자 미래 먹거리로 삼아 적극 육성하고 있다. 2023년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로 선정된 이후, 연구 및 분석 장비 지원, 시험평가 및 인증 지원 등 실질적인 지원사업을 추진 중이다.

 

또한, 2030년 준공을 목표로 조성 중인 동신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용인·평택 등 인근 대규모 반도체 산단을 연결하는 핵심 배후도시로의 성장 가능성도 주목받고 있다. 안성의 산업 전략과 비전은 지역 간 상생과 국가균형발전이라는 대의를 담고 있으며, 안성시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기피 시설로 지목할 이유는 전혀 없다는 것이 명백한 입장이다.

 

김보라 시장은 “앞으로도 관계 기관과의 협의와 조율에 앞장서며, 산업 육성과 안전, 환경 보호가 조화를 이루는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고 말하며, 그는 “이번 논란을 통해 안성시는 지역 발전에 대한 의지를 더욱 분명히 하며, 주민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행정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