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특례시, 첨단산업 중심 경제자유구역 선정

수원특례시, 반도체·바이오 R&D 핵심 거점으로 도약 준비 완료
교통 인프라 및 외국인 투자 최적 입지로 경제자유구역 지정 기대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수원특례시가 경기도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이 주관하는 ‘경기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후보지 공모’에 참여해 선정됐다. 이는 수원특례시가 지난 2년간 준비한 ‘수원 경제자유구역’ 조성 계획의 결실이다. 수원특례시는 올해 초 경기도에 제안서를 제출하며 공모에 참가했다.

 

이번 공모에서는 수원특례시, 파주시, 의정부시가 경기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을 위한 개발계획 변경 연구용역 대상지로 선정됐다. 수원특례시는 산업기반, 정주 여건, 교통 인프라 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수원특례시는 경제자유구역의 목표로 ‘반도체·바이오 등 첨단산업 연구개발(R·D)의 핵심 거점 조성’을 제시했다. 수원 R·D사이언스파크와 탑동 이노베이션 밸리를 중심으로 100만 평(3.3㎢) 규모의 경제자유구역을 조성하고, 2단계로 200만 평(6.6㎢) 규모로 확장할 계획이다.

 

후보지로 선정된 서수원 일원은 신분당선, GTX-C, 국철 1호선 등 광역철도망과 수원광명, 과천의왕 고속도로 등과 가까워 교통 접근성이 뛰어나다. 외국인 투자와 글로벌 기업 유치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국내외 투자기업에 관세, 취득세, 재산세 혜택과 자금 지원 등의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이를 통해 기업 투자가 활성화되고,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연구원의 연구에 따르면 수원 경제자유구역 조성의 경제적 효과는 생산 유발 13조 6000억 원, 부가가치 창출 5조 4000억 원, 일자리 창출 8만 9000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수원특례시는 경기도와 함께 2025년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9월에는 전문가 의견을, 11월에는 시민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또한, 전문가 자문단을 상시 운영하며 2026년 산업통상자원부에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은 “경제자유구역은 수원이 첨단과학연구 도시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수원의 미래를 결정지을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차질 없이 준비해 산자부 평가를 반드시 통과하겠다”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