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철산·하안택지지구 재건축, 2033년 완공 목표로 ‘순항 중’

광명시, 지구단위계획으로 재건축 사업성 확보
기존 2만 6천 세대, 재건축 통해 3만 2천 세대로 확대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광명시가 추진 중인 철산·하안택지지구 재건축 사업이 2033년 완공을 목표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광명시는 9일 발표한 정책 브리핑에서 노후 공동주택 단지가 밀집한 이 지역의 주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고 체계적으로 재건축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재건축이 완료되면 기존 2만 6천518세대의 공동주택이 6천 세대 증가해 3만 2천여 세대가 되며, 약 7만 9천 명의 시민이 거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업 추진 일정은 올해 12월 정비구역 지정, 2027년 사업시행인가, 2028년 관리처분인가, 2030년 공사 착공, 2033년 재건축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철산주공12~13단지와 하안주공1~13단지를 대상으로 한 지구단위계획이 이번 사업의 핵심이다. 이는 일반적인 절차와 달리 정밀안전진단 승인 전 계획을 수립하여 재건축 사업 추진 기반을 조기에 확보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철산주공12~13단지와 하안주공1~12단지 등 14개 단지가 재건축 정비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들 단지는 중층 공동주택으로, 용적률이 평균 168%에 달해 사업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광명시는 지구단위계획에 통합개발 유도,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및 기반시설 확보 방안 등을 포함하여 사업성을 높였다.

 

특히, 하안주공 단지들은 통합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특별계획구역으로 묶어 기반시설의 연계성을 높였다. 이와 함께 현행 제2종일반주거지역을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하여 용적률을 최대 330%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이를 통해 사업성과 공공성을 모두 확보하고자 했다.

 

광명시는 또한 도로, 공원, 학교 등 기반시설 용지를 포함해 시민 편의시설을 확보할 계획이다. 민간 재개발 사업으로 발생하는 개발이익의 14.8%를 공공기여로 환수하여 시민 편의시설 확충에 기여할 예정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철산·하안택지지구 재건축을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하겠다”며 “재건축 사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광명시는 앞으로도 주민들과의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 사업 추진의 원활함을 도모할 계획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