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경제정책 키워드는 '공정경제, 혁신성장' 경제활성화 대책 발표

5대 정책 88개 과제에 1조 9천억 투자

 

 

▲ 김희겸 행정1부지사는 13일 오전 10시 도청브리핑에서 `2019년 경기도 경제 활성화 정책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사진=문수철 기자)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경기도 민선 7기 출범이후 새로운 경기 공정한 세상이라는 슬로건 아래에 공정, 평화, 복지의 실천을 통해 각 분야에서 많은 성과를 거뒀다. 이에 대한 지속가능한 '공정경제, 혁신성장'을 목표로 5대 경제정책분야와 총 88개 과제에 1족 9천억 원을 투자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구체적인 목표와 실천방안을 발표했다.

 

김희겸 행정1부지사는 13일 오전 10시 도청브리핑을 열고 '2019년 경기도 경제 활성화 정책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김희겸 부지사는 이날 "2019년도에는 세계 경제나 국내 경제가 많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교역 규모가 침체되고 있고 반도체를 중심으로 하는 많은  산업분야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어 이에 따라 기업의 실적이 둔화되고 있고. 고용도 부진하고 있다"면서, "경제 활성화를 통해 좋은 일자리 창출에 역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이어 김 부지사는 "경기도에서는 공정한 경제의 기틀 속에서 저성장을 파괴하고 지속가능한 혁신산업에 대한 신규투자를 유치해 5대 정책인 공정경제, 민생경제, 혁신경제, 사회적경제, 평화경제 등 도민이 다함께 잘살 수 있는 경쟁 환경을 마련해 새로운 경기의 가치를 담은 경제 활성화 정책을 펼치겠다"고 강조했다.

 

분야별로 중점추진 과제에 대해 김 부지사는 "공정한 경쟁을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공정경제 활성화를 추진해 나가겠다"며, 말하고 "상반기에 공정거래추진단을 발족해 입찰담합과 불합리한 상황들을 근절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특히 도의 건축공사 입찰시 페이퍼컴퍼니를 집중 단속하고, 중소기업의 성장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규제를 발굴해서 과감하게 제도을 개선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성과공유제를 민간 내 확산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갖춰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골목상권 활성화와 지역경제 선순환을 위해 올 4월부터 31개시군 전역에서 4,961억 원에 달하는 지역화폐를 발행하는 한편,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지원을 전담하기 위한 경기시장상권진흥원도 연내 설립할 예정이다. 민생경제 활성화에는 34개 과제에 4,755억 원이 투입된다.

 

아울러, e-스포츠 경기장 건립지원, VR/AR 융복합 콘텐츠 개발지원 등 게임‧콘텐츠 산업 활성화, 한류와 평화를 소재로 한 체류형 관광과 마이스 산업 육성 등도 지역경제의 성장동력으로 추진한다. 혁신경제분야에는 23개 과제에 2,627억 원이 투입된다.

 

한편, 경기도는 이번 경제활성화 정책을 실질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도지사를 단장으로, 3부지사를 부단장으로 하는 ‘경제활성화 추진단’을 구성, 전 실국의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추진단은 경제활성화 과제가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주기적인 정기점검회의를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도는 5월중에 경제와 일자리 사업을 중심으로 한 1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는 한편 재정 신속집행에 행정력을 집중해 상반기 중 올 전체 예산의 64.5%를 조기 집행할 계획이다. 또, 경제.산업분야의 기업인, 소상공인, 창업가를 만나 현장의 이야기를 듣고 계속해서 이를 정책에 반영할 방침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