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친환경차.. 2022년 까지 수소차 3,000대 보급

오는 2022년 까지 6,6443억원 예산투입
정부의 ‘수소경제 집중육성계획’에 발마줘 수소충전소 27개소 확충

 

 

▲ 김 건 환경국장은 21일 오전 10시 경기도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재명 지사의 정책방향에 따라 친환경차 확대 및 충전 인프라 구축에 총력을 기울인다고 밝혔다.(사진=문수철 기자)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도는 정부가 지난 17일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대응하고자 교통분야 미세먼지 개선을 최우선으로 추진하는 이재명 지사의 정책방향에 따라 친환경차 확대 및 충전 인프라 구축에 총력을 기울인다고 밝혔다.

 

김 건 환경국장은 21일 오전 10시 경기도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미세먼지 개선을 최우선으로 추진하라는 이재명 지사의 정책방향에 따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친환경차를 확대·보급을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도는 오는 2022년까지 6,64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기차 약 3만대, △전기버스 596대, △전기충전소 1만 5천기, △수소차 3,000대, △수소충전기 27대등 친환경차를 확대·보급하고 관련 인프라를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우선, 도는 전기차 확대 도모를 위해 ‘전기충전기 사각지대’를 해소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주차 공간 부족, 설치비용 등을 도내 공동주택단지 중 약 36%만이 전기충전기가 설치돼 있고, 충전기 보유 도민들 위주로 전기차 구매가 이루어 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도는 올해 공공충전기 설치예산 30억원중 3억원의 예산을 활용해 전기충전기를 갖추지 못했던 공동주택 100개소에 별도의 추가 공간 확보 없이도 충전이 가능한 ‘이동형 전기충전기’를 보급하는  사업을 시범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맞춘 수소차 확대 계획도 포함 됐다. 경기도는 도내 수소충전소가 전무한 점을 고려해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을 조기에 추진해 수소차 보급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도는 올해 도비 13.5억을 포함한 90억원을 투입해 기존 CNG, LPG충전소를 활용한 ‘복합충전소’ 방식의 수소 충전소 3개를 구축해 수소차 200대를 우선 보급하고 2022년까지 도비 122억원을 투입해 수소 충전소 27개소를 구축해 수소차 3,000대 보급을 확대 하기로 했다.

 

특히, 도는 미세먼지 저감 효과 극대화를 위해 “오염물질을 다량 배출시키는 노후 경유버스부터 우선 교체를 실시하고, 오는 2027년까지 도내 모든 경유버스를 전기버스 등 친환경 버스로 전면 교체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해 친환경차로 전환하는 것을 시대적 과제로 인식하고 전기차(버스) 및 수소차 보급·확대와 충전 인프라 구축을 통해 도민의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