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시는 12일 오전 시청 중회의실에서 ‘광명시 민생경제 및 지역상권 활성화 정책’을 주제로 정책브리핑을 열고, 민생안정지원금부터 지역상권 성장 지원까지 광명형 민생경제 회복 정책을 설명했다.
광명시가 ‘사람이 머물고 상권이 살아나는’ 지속가능한 민생경제 도시 조성을 목표로 대대적인 경제 회복 정책을 펼치고 있다. 홍명희 경제문화국장은 민생안정과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경제 회복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초 광명시는 모든 시민에게 민생안정지원금으로 광명사랑화폐 10만 원을 지급했다. 이 지원금은 경기침체와 정국 불안 속에서 민생경제 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했다. 광명시는 앞으로도 광명사랑화폐를 통해 지역 내 골목상권 소비를 촉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광명사랑화폐 발행 목표를 5천억 원으로 설정하고, 인센티브 구매 한도를 상향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 중이다.
지역상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광명시는 상인회 조직 지원, 디지털 기술 지원, 금융 지원 등을 통해 소상공인들의 경영 환경을 개선하고 있다. 특히, ‘광명상생플랫폼’을 구축해 소상공인들의 온라인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 플랫폼은 맞춤형 온라인 마케팅, 콘텐츠 제작, 유통 채널 연계 등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하며, 내년 1월부터 정식 운영을 시작한다.
또한, 광명시는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주관의 ‘상권 친화형 도시 조성 사업’ 공모에 선정되며 지속가능한 지역경제 생태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소상공인 원스톱 지원센터 설치, 장인대학 운영, 상권 기반시설과 환경 개선 등을 통해 지역상권의 자생력을 높이고 있다.
홍명희 경제문화국장은 “광명시는 소상공인들이 안정적으로 경영하고 상권이 살아나는 지속가능한 민생경제 도시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광명시는 앞으로도 지역상권의 자생력을 강화하고, 사람들이 오래 머물며 지속적으로 활력을 유지하는 구조를 만들어갈 계획이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으면 광명시는 더욱 활기찬 경제 도시로 거듭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