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인천시교육청 이상돈 부교육감은 28일 브리핑룸에서 특수교사 사망 사건과 관련한 진상조사 경과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사건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들을 설명하며 향후 계획을 제시했다.
2024년 12월 18일, 인천광역시교육청은 진상조사의 공정성을 위해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했다. 위원회는 교직단체, 유족, 교육청 추천 인사로 구성된 12명의 위원들로 이루어졌으며, 공동위원장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까지 대면 회의 5회, 서면 심의 9회 등 총 14회의 회의를 개최하여 조사의 방향과 범위, 자료 요청 등의 주요 사항을 심의했다.
이번 진상조사는 2024년 10월 24일 특수교사 사망 이후, 11월 5일 교육감 기자회견과 함께 시작됐다. 진상조사위원회는 독립적인 조사 권한을 가진 진상조사단을 구성했고, 이는 유족과 교직단체, 교육청이 각각 추천한 외부 전문가 3인으로 구성됐다. 조사단은 조사 범위가 예상보다 폭넓어 장기간에 걸쳐 조사를 진행 중이며, 조사의 종결 시점은 조사단의 의견을 존중하여 결정할 계획이다.
향후 계획에 따르면, 진상조사단의 결과보고서가 제출되면 진상조사위원회에서 보고서를 채택하고, 그 공개 여부를 심의하게 된다. 이후, 교육청 감사관이 최종 검토를 통해 필요한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유족과 사전 합의된 대로 진상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순직인정을 위한 신청도 진행할 계획이다.
인천광역시교육청은 진상조사와 별개로 특수교육 여건 개선을 위한 전담기구를 조직했다. 2025년 2월 21일, 교육청과 15개 교육단체가 공동합의한 ‘인천 특수교육 개선 과제 및 세부추진계획’을 발표하고, 2월 27일에는 ‘2025 인천 특수교육 계획’을 통해 특수학급 신설 및 증설, 특수교사 업무 경감을 위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상돈 부교육감은 “우리교육청은 투명하고 공정한 진상조사와 그에 따른 후속 조치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모두가 존중받는 맞춤형 특수교육 실현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