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수원, ‘한국형 실리콘밸리’ 첫 발걸음 내딛다
수원 경제자유구역, 첨단산업 중심의 경제복합도시로 조성 계획
경제자유구역 지정 시 다양한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로 기업 유치 기대
수원특례시가 경기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후보지 공모에 선정되며 ‘수원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 경기도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이 주관한 이번 공모에서 수원시는 반도체, 바이오, AI 등 첨단산업 R&D의 핵심 거점 조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수원특례시는 올해 경기도와 함께 개발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전문가 자문단을 운영하고 시민 의견을 수렴해 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개발계획이 완료되면 내년 산업통상자원부에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지정 심사를 통과하면 2026년 11월경 수원은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될 전망이다.
수원 경제자유구역의 중심에는 수원 R&D사이언스파크와 탑동 이노베이션밸리가 자리잡을 예정이다. 100만 평 규모의 경제자유구역을 우선 조성한 뒤, 2단계로 확장해 300만 평 규모의 ‘한국형 실리콘밸리’를 만드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다. 이 지역에는 R&D, 반도체, IT, BT, AI 등 첨단과학연구기업이 집중 유치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창업 지원을 위한 공간과 주거 공간, 녹지, 문화체육시설도 마련해 자족형 경제복합도시를 조성할 예정이다. 이는 경제자유구역 내에서 일하는 직장인들이 가까운 곳에서 거주하며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수원 경제자유구역 후보지로 선정된 서수원 일원은 뛰어난 접근성을 자랑한다. 신분당선, GTX-C, 국철 1호선, 수인분당선 등 광역철도망이 가까이 있으며, 수원광명고속도로와 과천의왕고속도로도 10분 안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수원 지역 대학에서 매년 3600여 명의 이공계 인재가 배출되며, 연구 인력은 4만 3000여 명에 달한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외국인 투자기업 및 국내 유턴 기업에 관세, 취득세, 재산세 감면 혜택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규제 완화로 기업 투자 및 유치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질 높은 일자리 창출도 예상된다.
수원특례시는 R&D사이언스파크와 탑동 이노베이션밸리를 중심으로 한 경제자유구역과 북수원테크노밸리, 우만테크노밸리, 델타플렉스 등을 고리 형태로 연결하는 ‘환상형 첨단과학 혁신 클러스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은 “수원의 미래를 결정지을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차질 없이 준비해 산업통상자원부 평가를 반드시 통과하겠다”며 “수원 경제자유구역을 한국형 실리콘밸리로 조성하고, 나아가 수원을 첨단기업이 모여드는 ‘첨단과학연구도시’로 만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