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7 (월)

  • 구름많음속초 9.1℃
  • 흐림철원 4.6℃
  • 구름조금동두천 7.1℃
  • 맑음파주 7.5℃
  • 맑음대관령 2.4℃
  • 흐림춘천 6.7℃
  • 구름많음백령도 6.4℃
  • 흐림북강릉 9.1℃
  • 흐림강릉 10.3℃
  • 구름많음동해 10.6℃
  • 구름조금서울 8.5℃
  • 맑음인천 8.6℃
  • 맑음원주 6.6℃
  • 구름조금울릉도 11.5℃
  • 수원 8.5℃
  • 맑음영월 6.8℃
  • 구름조금충주 4.5℃
  • 구름조금서산 7.6℃
  • 맑음울진 8.5℃
  • 맑음청주 8.9℃
  • 맑음대전 8.5℃
  • 맑음추풍령 8.3℃
  • 맑음안동 3.8℃
  • 구름조금상주 6.3℃
  • 구름조금포항 11.5℃
  • 맑음군산 9.1℃
  • 맑음대구 10.2℃
  • 구름많음전주 9.7℃
  • 맑음울산 10.8℃
  • 맑음창원 11.2℃
  • 구름많음광주 10.9℃
  • 맑음부산 12.4℃
  • 맑음통영 12.1℃
  • 구름많음목포 10.7℃
  • 구름조금여수 11.7℃
  • 구름많음흑산도 10.7℃
  • 구름많음완도 12.1℃
  • 구름조금고창 9.3℃
  • 구름많음순천 9.6℃
  • -진도(첨찰산) 30.2℃
  • 맑음홍성(예) 9.2℃
  • 구름조금제주 14.1℃
  • 구름조금고산 13.5℃
  • 맑음성산 12.7℃
  • 구름많음서귀포 13.4℃
  • 맑음진주 8.5℃
  • 구름조금강화 7.6℃
  • 구름많음양평 6.2℃
  • 구름조금이천 7.6℃
  • 구름많음인제 7.1℃
  • 흐림홍천 5.2℃
  • 맑음태백 4.0℃
  • 구름조금정선군 5.5℃
  • 구름조금제천 5.6℃
  • 구름조금보은 5.5℃
  • 맑음천안 6.8℃
  • 구름조금보령 9.3℃
  • 맑음부여 6.9℃
  • 맑음금산 8.6℃
  • 구름많음부안 8.9℃
  • 구름많음임실 8.7℃
  • 구름많음정읍 9.9℃
  • 맑음남원 8.5℃
  • 맑음장수 8.1℃
  • 구름많음고창군 7.9℃
  • 맑음영광군 8.6℃
  • 맑음김해시 12.5℃
  • 구름많음순창군 9.2℃
  • 맑음북창원 12.2℃
  • 맑음양산시 10.6℃
  • 구름조금보성군 11.5℃
  • 구름많음강진군 11.7℃
  • 맑음장흥 11.4℃
  • 흐림해남 11.4℃
  • 맑음고흥 12.8℃
  • 구름조금의령군 9.7℃
  • 맑음함양군 10.4℃
  • 구름많음광양시 9.2℃
  • 흐림진도군 11.3℃
  • 맑음봉화 4.3℃
  • 구름조금영주 3.9℃
  • 맑음문경 8.0℃
  • 구름많음청송군 4.8℃
  • 구름많음영덕 7.5℃
  • 맑음의성 3.0℃
  • 맑음구미 5.2℃
  • 구름많음영천 6.7℃
  • 맑음경주시 9.6℃
  • 구름많음거창 9.0℃
  • 맑음합천 10.2℃
  • 맑음밀양 12.8℃
  • 구름많음산청 9.7℃
  • 맑음거제 11.0℃
  • 맑음남해 10.0℃
기상청 제공

탐방

여행코스 풍부한 ‘수원 1박 2일’ ①

 

처음 한 것은 연무대에 위치한 국궁활쏘기체험이다. 보통 사람들은 활쏘기 경험이 아주 없기에 국궁 사용법을 설명 받고 활시위를 당겨봤다. 처음 경험자들은 손이 부들부들 떨리는 현상이 있을 수 있다. 과녁 맞추기도 버겁다. 그것은 운동신경과는 다른 어떤 특별한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인근엔 동장대와 연무대 그리고 동북공심돈이 위치해 있다. 과거엔 이곳이 병사들의 훈련을 체크하는 중심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화성에서도 주요한 전략적인 공간으로  화성의 특징을 표현했다고 볼 수 있다. 

 

화성의 전략적 요충지였던 ‘동장대’와 ‘동북공심돈’

 

동장대는 꽤 넓은 공간으로 병사들의 훈련을 체크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전략적인 건물이기도 하다. 안쪽의 온돌은 겨울훈련을 고려한 듯 보인다. 또 우기에 빗물이 고이지 않게 설계 되었다. 뒷면은 ‘영롱담’ 이라는 꽃문양의 담장이 있다. 

 

동북공심돈은 튼튼히 보이는 화성의 건축물중의 하나인데 화포구멍이 사방으로 나있어 요새안의 요새 역할도 했을 것으로 짐작이 된다. 이것은 적들이 성벽을 넘어 침투했을 것으로 안쪽의 적들을 섬멸하기 위한 거라고 한다. 인근엔 창룡문과 담장이 아름다운 창룡마을도 둘러볼만 하다. 

 

 

총괄 지휘소인 ‘서장대’와 팔달산의 성신을 모시는 ‘성신사’

 

행궁주차장에서 오르면 성신사를 만나볼 수 있다. 성신사는 화성을 지켜주는 화성 성신을 모시는 곳으로 풍수지리로 본다면 수원지역에서 가장 좋고 가장 중요한 자리이기도 하다. 이곳에서 화성성신께 무사안일하길 소원을 빌어보는 것도 나름 재밌는 여행이 될 수 있다. 

 

팔달산 정상에는 총괄 지휘소 역할을 했던 서장대를 만나볼 수 있다. 이곳은 수만의 장용영군대를 총 지휘했던 곳으로 정조임금이 화성에 행차했을 때는 이곳에서 직접 지휘도 했었다고 한다. 화성을 둘러보면 오방색 깃발을 만나볼 수 있는데 왕이 행차했을 경우 황색깃발을 꽂아 놓았다고 한다. 서장대에 오르면 수원지역의 다양한 도심풍경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어 사람들이 많이 찾는다. 

 


화성행궁과 화령전

 

화성행궁은 알다시피 임금이 지방에 내려와 잠시 머물렀던 거처로 화성행궁은 행궁 중에서도 가장 큰 규모로 지어졌다고 한다. 행궁 앞엔 커다란 느티나무 3그루가 품(品)자 모양으로 심어져 있는걸 볼 수 있는데 이는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나타낸다고 한다. 또한 화성행궁 안으로 들어서면 바닥이 흙이 있는 곳까지는 임금이 말을 타고 들어왔다고 전해지며 중간문 부터는 임금만 걸을 수 있는 사각벽돌로 길을 내 위엄을 나타냈다고 한다. 

 

안쪽은 봉수당까지 3개의 문이 있는데 이것은 외조, 내조, 치조를 뜻한다고 한다. 외조는 천자가 제후를 접견하고 중요한 전례의식을 진행하는 곳이며, 치조는 정무를 처리하는 곳, 내조는 매일의 공무를 처리하는 곳이라고 전해진다. 

 

행궁 옆은 화령전이 나란히 하고 있다. 화령전은 순조가 정조의 어진을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던 곳으로 수원에서 옛 모습을 그대로 가장 온전하게 보존되고 있는 건물 중에 하나이다. 

행궁의 정문인 신풍루 앞에서는 무예24기 공연이 펼쳐지며 행궁광장 전망대에 오르면 주변 경관을 관람할 수 있다. 화성에 관해 더 알고자 한다면 광장 맞은편에 위치한 화성박물관을 방문하면 된다. -계속-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