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헤드라인=임근무 기자] 평택시 팽성읍 추팔산단에 소재한 서화어린이집은 절약과 나눔의 정신을 실천하기 위해 부모님과 아이들이 준비한 바자회 행사를 통해 판매한 수익금 40만원을 지난 16일 팽성읍행정복지센터(읍장 유종복)를 방문해 어려운 이웃에 전달해 달라며 기탁했다. 이날 전달식에서 홍은미 원장은 “어린이집 학부모 및 원아들이 자발적으로 모은 수익금을 통해 조금이나마 희망과 따뜻한 정을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돼 기쁘다”며 “이를 통해 어려운 이웃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에 유종복 팽성읍장은 “지역사회의 작은 손길들이 어려운 이웃에겐 큰 힘이 될 수 있으며 나눔 바자회를 통해 아이들이 나눔을 어렵게 생각하지 않고 어려운 이웃을 돌아볼 줄 아는 아이들로 성장하기를 바라며 베풀어 주신 정성에 감사드린다”고 화답했다. 한편, 서화어린이집은 2018년부터 이어오고 있는 바자회 행사로 작지만 소중한 서화어린이집 원아들의 사랑이 모여 지역사회에 나눔을 실천하고자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진 것으로 더욱 행사의 의미가 깊다.
[경기헤드라인=임근무 기자] 평택시 청북읍 소재 (주)아이앤글로벌은 지난 16일 평택시 송탄출장소를 방문해 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해 써달라며 KF94 마스크 5,000장을 전달했다. ㈜아이앤글로벌은 마스크 전문 생산 및 유통업체이며 본사는 경기 성남시에 있으며, 평택시 청북읍에 제조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윤서연 대표는 “코로나19의 재확산에 따라 3차 대유행이 본격화되고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독거어르신 등 취약계층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기부에 참여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이배 송탄출장소장은 “코로나19로 어려운 시기에 귀한 마스크 기부를 실천해 준 ㈜아이앤글로벌에 깊이 감사를 드린다”며 “정성을 담아 기부하신 물품이 도움이 필요한 분들께 전달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챙기며 코로나19의 지역사회 확산방지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출장소는 기부 받은 마스크를 기부자의 뜻에 따라 관내 면연력이 취약한 계층에 전달해 지역사회 내 감염예방에 쓰일 예정이다.
[경기헤드라인=임근무 기자] (재)평택시로컬푸드재단은 지난 15일 평택시 로컬푸드종합센터에서 임직원 20명이 참석한 가운데 재단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평택시는 2019년 9월부터 로컬푸드종합센터의 효율적인 운영과 지역농산물의 선순환체계 구축을 통한 농업인・시민의 복리증진을 위해 재단설립을 추진해 왔으며, 직매장 및 공공급식 운영 등 다양한 목적사업을 통해 농업인에게는 안정적인 소득 보장과 시민에게는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김준규 이사장은 “먹거리의 안전과 안정적인 농업경영이 위협받고 있는 지금 평택시 로컬푸드재단의 설립은 평택시 시민 모두가 풍요롭고 건강한 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필연의 과정으로 사명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김성훈 센터장은 “지역 내 농산물이 선순환되어 농업인의 안정적인 소득과 시민들의 건강한 먹거리를 보장하기 위해 컨트롤타워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코로나19로 인해 창립식은 2021년 상반기 내 진행예정이라고 전했다.
[경기헤드라인=임근무 기자] 평택시 농업기술센터에서 육성하는 평택 사이버농업인연구회가 지난 16일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열린 ‘2020 경기도 농업인 마케팅 경진대회’에 출전해 스토리텔링(정은아) 경진, ICT 활용사례(박정순) 경진 분야에서 대상, 사이버농업인연구회활동(이용희, 이진영) 경진 분야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이번 대회는 농업인들에게 정보문화를 확산하고, 급변하는 정보화시대를 선도하는 농업인을 육성하기 위해 농가 브랜드 활용사례 경진, 농산물 홍보 라이브 방송 경진 등 5개 분야로 비대면 온라인 발표로 진행됐다. 이에 정은아씨는 전자상거래 운영을 하면서 ‘한빚농원 맛다맛배’의 스토리 있는 상품 설명으로 농가 및 생산제품을 홍보하는 내용으로 발표해 대상을 받게 됐다. 또한, 박정순씨는 ICT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새싹인삼 식물공장’에 대해 소득창출을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정보화 확산 사례를 내용으로 발표해 대상을 받게 됐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평택 사이버농업인연구회가 경진대회 참여를 통해 경기도 농업인의 정보화 활용 동기 부여를 마련하고 농업인들이 소비자와 소통하는 마케팅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회가 되어 농가 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