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이 17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수원형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 브리핑’에서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이 “역세권 복합개발로 수원에 22개의 콤팩트시티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현재 진행 중인 광역 철도망 구축 사업이 완료되면 수원의 전철역이 22개로 증가한다”며, “이들 역세권을 복합개발하여 콤팩트시티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수원특례시는 역세권 주변의 공공개발 사업과 대학교 근접성 등 지역 특성을 고려해 9개 역세권, 총 230만㎡(70만 평)를 전략지구로 선정하고 복합개발 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다. 내년 상반기에 이들 전략지구에서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을 시작해 2030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도심복합형, 일자리형, 생활밀착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추진된다. 도심·부도심 지역과 환승역세권은 업무·상업 복합 기능이 중심인 ‘도심복합형’으로, 대학교와 가까운 역세권과 첨단 업무시설 입지 예정지역은 자족 기능을 강화하는 ‘일자리형’으로,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생활밀착형’은 도심 주거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이재준 시장은 “역세권 복합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도록 규제를 과감하게 철폐하겠다”며, “개발사업의 걸림돌이 됐던 용도지역·용적률 규제를 단계적으로 완화해 민간·공공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수원시는 역세권 복합개발에 참여하는 민간·공공 시행자들에게 개발계획 수립 및 전문가 컨설팅 등을 지원하며, 인허가 기간을 단축해 사업을 신속히 추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번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 관련 조례는 이달 안에 공포될 예정이다. 이 시장은 “사업이 완료되면 도심 개발 용지 140만 평을 확보하고, 7만 평 규모의 생활SOC가 공급될 것”이라며, “공간대전환의 핵심인 역세권 복합개발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세계가 주목하는 역세권 콤팩트시티의 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는 수원이 향후 지속 가능한 도시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