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11년이 흘렀다. 2014년 4월 16일, 대한민국 전역을 충격에 빠뜨린 이 비극적인 사건은 아직도 많은 이들의 마음속에 깊은 상처로 남아 있다. 304명의 소중한 생명을 앗아간 이 사건은 단순한 사고가 아닌, 사회 전반에 걸친 안전불감증과 부실한 구조체계의 문제를 적나라하게 드러낸 사건이었다.
매년 4월 16일이 다가오면, 대한민국 국민들은 다시금 세월호를 기억하며 희생자들을 추모한다. 서울 광화문 광장과 안산 단원고등학교, 그리고 진도 팽목항 등 여러 추모 장소에는 노란 리본이 가득하다. 노란 리본은 “잊지 않겠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희생자들에 대한 깊은 애도를 표하는 상징이 됐다.
이번 11주기에는 특히 생명 존중과 안전한 사회에 대한 목소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세월호 참사 이후 여러 차례의 법과 제도 개선이 이루어졌지만, 아직도 곳곳에 산재한 안전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세월호 참사를 잊지 말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 나가자”라는 목소리는 시간이 지나도 더욱 강력하게 울려 퍼지고 있다.
세월호 참사는 우리 사회가 안전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만든 계기가 됐다. 그동안 정부와 사회는 다양한 안전 대책을 마련했으며, 특히 재난 대응 체계의 강화와 관련 법규의 개정 등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여전히 안전 불감증은 우리 주변에 도사리고 있으며, 세월호 참사의 교훈을 잊지 않고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맞아 많은 이들이 다시 한번 희생자들의 이름을 불렀다. “우리는 당신들을 잊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잊지 않을 것입니다”라는 다짐과 함께,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며 그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 나가자는 결의가 다져졌다.
세월호 참사는 단순한 사고가 아닌, 대한민국 사회에 큰 상처를 남긴 비극이었다. 그러나 이 비극을 통해 우리는 안전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달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다 나은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 할 책임을 지고 있다. 세월호 참사의 교훈을 잊지 않고, 더 안전하고 생명 존중의 가치를 지닌 사회를 만들어 가는 것이야말로 희생자들에 대한 진정한 추모일 것이다.